만 나이 계산기
생년월일을 입력하세요
년
월
일
계산 결과
사용법
생년월일을 입력하세요 (자동으로 다음 필드로 이동)
입력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나이가 계산됩니다
정확한 만 나이가 표시됩니다
🧑 연령별 주요 권리·제도 (만 나이 기준)
14
세 이상
카카오톡, SNS 등 대부분 온라인 서비스 가입 가능
형사 미성년자(만 14세 미만) → 형사처벌 불가, 만 14세부터는 형사책임 인정
15
세 이상
근로기준법상 취직 가능 연령 (부모 동의 필요)
17
세 이상
주민등록증 발급 가능
18
세 이상
자동차 운전면허 취득 가능 (2종 보통 기준)
선거권 부여 (국회의원, 대통령 선거 모두 가능)
혼인 가능 (민법 개정 후 남녀 모두 만 18세 이상부터)
일부 청년 정책(교통·문화 할인, 청소년 우대 등) 종료
19
세 이상
술·담배 구매 가능 (청소년보호법)
성인영화/게임/유흥업소 출입 가능
20
세 이상
군 입대 의무 본격 적용 (징병검사, 현역 입영 가능)
대학 등록금·청년 지원금 일부 제도 만 20세 이상 대상
24
세 이하
일부 공공기관 청년 우대금리 통장 가입 가능
34
세 이하
청년 월세 특별 지원 (국토부, 지자체)
청년 전세자금 대출 (버팀목 전세자금 등)
청년 주택 청약 우대 (신혼부부 특별공급 등은 만 39세 이하까지 확대되기도 함)
39
세 이하
청년 주택/장기전세주택 입주 가능 연령
청년 창업 지원 (중소기업청, 창업지원금 등)
일부 지자체 청년 지원 정책 상한선
40
세 이상
중장년층 창업 지원 (중소기업청, 중장년 창업지원금)
중장년층 재취업 지원 (고용지원센터)
45
세 이상
중장년층 전용 주택 청약 (일부 지자체)
50
세 이상
중장년층 전용 취업 지원 프로그램
중장년층 건강검진 무료 (국가건강검진)
55
세 이상
중장년층 전용 주택 분양 (일부 아파트)
60
세 이상
중장년층 특별 지원 (일부 지자체)
61
세 이상
노령연금 지급 시작 (1953-56년생)
62
세 이상
노령연금 지급 시작 (1957-60년생)
63
세 이상
노령연금 지급 시작 (1961-64년생)
64
세 이상
노령연금 지급 시작 (1965-68년생)
65
세 이상
노인복지법상 노인 혜택 시작
노인교통카드 할인 (대중교통)
노인 문화시설 할인 (박물관, 영화관 등)
기초연금 수급 자격 (만 65세 이상)
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 자격
70
세 이상
노인 우선 대기 및 할인 혜택 확대
이 웹사이트는 쿠키를 사용하여 사용자 경험을 개선합니다. 계속 사용하시면 쿠키 사용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됩니다.
동의
거부
↑